Chapter 2. Company : 디지털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실행, 성과 분석 및 평가
<디지털 전략>
● 전략이란?
핵심은 차별화 - 남들과 어떻게 다르게 잘 할 것인가?
하지만 실제 현업에서는 1등 기업을 카피 캣 하는 전략을 답습하고 있음
왜? - 경쟁사를 따라가지 않으면 시장점유율을 빼앗기는 부분이 많고, 답습을 하는 것이 그쪽의 포션을 빼앗는 전략이기도 하기 때문
"하지만 현업에서 실제적으로 뜬구름잡지 않는 사람이 되려면 고객의 행동 퍼널, 전환 퍼널 상에서
다르게 잘 하는 부분도 필요하다."
● 비즈니스 전략을 얘기할 때 많이 쓰는
BMC (business model canvas)
"단순히 마케팅 전략만을 가지고 디지털을 접근하기보다는
기업 경영 전반, 가치 사슬 활동상에서의 이해도,
그리고 실제 스크립트 태깅, SQL 등의 이해를 갖추고
누락 없는 빅데이터 활용, 태깅에 대한 그로스 해커로서
회사의 기획자, 마케터, 디자이너들과 서로 커뮤니케이션이 되는 수준의 인력이 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BMC모델은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1. 고객 세그먼트 (costomer segments)
= 우리의 고객, 자사의 핵심, 주 수익원 채널이 어디인지
2. 고객 관계 (costomer relationships)
=마케팅 광고 방법과 우리 제품의 수익을 낼 수 있는 판매 채널
3. 채널 (channels)
=그러한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우리 제품의 수익을 낼 수 있는 판매 채널
4.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
= 우리 자사 제품과 서비스, 브랜드가 고객에게 어떠한 효용을 주느냐
5. 핵심 활동(key activities)
6. 핵심 자원(key resourses)
= 회사의 물적, 인적, 기술적 자원, 그리고 해단 핵심 역할을 위한 실제 활동
7. 핵심 파트너쉽 (key partners)
= 우리 제품 브랜드들과 핵심적으로 co-work을 하는 파트너사
8. 비용 구조 (cost structure)
= 자사에 수익을 낼 수 있는 수익구조 (제품 판관비, 제조비 등)
9. 수익원 (revenue streams)
= 우리의 주 수익원
"따라서 마케터라면 이 전체적인 비즈니스에 대한 구조를 토대로
어떠한 마케팅 B2C 방법들을 제안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깊이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디지털 전략 프레임워크
"기업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기업의 고객이 누군지, 고객이 원하는게 무엇인지이다
그리고 그 고객을 기반으로 이 6가지의 단계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1. 목표 수립
=사이트별 목표(매출,트래픽,구매전환률) 수립
- 어떤 고객 세그먼트가 매출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지, 어떤 채널(플랫폼) 쪽에서 트래픽이 많이 들어오는지, 구매전환률 등의 KPI를 설정해야 함
2. 문제점 파악
=사이트 / 상품 / 브랜드 / 카테고리별 / 문제점 파악
ex) 우리 채널이 현재 검색으로 많이 들어오지 않고 있다 → 키워드 설정에 대한 분석을 해봐야 될 필요성 감지 →
3. 가설설정
=문제 운인 및 해결방안 가설 설정
ex) sns인게이지먼트로 확장 , 또는 더 나아가 퍼포먼스 채널로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는 가설 설정 →
4. 데이터 설정
=가설에 따른, 기존 데이터 / 필요 데이터 파악 및 수집
ex) 다양한 웹 로그 사이트나 웹 로그 분석 툴 이용
5. 데이터 분석
=Dimension, Measure별 데이터 분석
6. 대응 및 실행
=분석결과에 기반한, 대응방안 및 실행
- 최적화 및 선순환을 위한 신규/수정 목표 수립
※ 에드위드의 디지털마케팅 부스트코스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www.edwith.org
'디지털마케팅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마케팅 전략 2-(3) 퍼포먼스 전략 (0) | 2020.03.04 |
---|---|
디지털마케팅 전략 2-(2) 측정 전략 (0) | 2020.03.04 |
디지털마케팅 전략 1-(4)시장 트렌드 (0) | 2020.03.03 |
디지털마케팅 전략 1-(3)개인화 트렌드 변화 (0) | 2020.03.03 |
디지털마케팅 전략 1-(2)디지털 시장 변화 (0) | 2020.03.03 |